본문 영역으로 바로가기 하단 메뉴로 바로가기

홈 화면으로 이동

언론보도 상세 페이지

커뮤니티 문화지소의 언론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2022 우리마을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 실시

2022.09.14
무안문화원, 무안 지역의 특색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강의, 토론, 학습, 실습을 함께 하는 우리 마을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 마련

□ 무안문화원(오해균 원장)은 2022 행복전남 문화지소 무안군 사업 추진을 위한 <우리마을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을 진행한다. 이는 매주 화요일 총 8회차 수업을 통해 무안군 읍·면의 마을별 문화예술교육생태계를 구축하고 특색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주체를 발굴 및 양성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이번 과정은 특히 무안군에서 활동하는 ‘마을학교’와 연계하여 진행된다.

□ 9월 6일(화)에 입학식과 특강을 시작으로, 9월 13일, 20일, 27일, 10월 5일에는 <에듀스콜라 : 무안 마을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가질 예정이다. 10월 11일에는 <한국의 마을문화예술교육 사례 및 전망> 특강을, 10월 18일(화)에는 <세계 마을문화예술교육의 현황 및 분석> 특강을 진행한다. 마지막 수업인 10월 25일(화)에는 모두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시연과 무안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구축을 위한 토론회를 가진 후 수료식을 가질 예정이다.

□ 1회는 무안군의 문예교육 및 마을학교 운영 현황과 이를 횡단하는 강의방법론에 대한 내용의 특강을 가진다. 2회부터 5회까지는 무안의 마을학교와 합동토론 및 문화예술교육을 가진 뒤 컨설팅까지 진행된다. 2회에는 일로의 토브마을학교와 현경의 물바위마을학교가, 3회에는 해제의 아라해제마을학교와 무안읍의 너나들이마을학교가 참여한다. 그리고 4회에는 청계의 구로마을행복마을학교와 몽탄의 몽탄마을학교가, 5회에는 삼향의 가치놀동무마을학교와 남악의 무도리마을학교가 참여한다. 6, 7회는 경남 창녕의 마을 문화예술교육 시제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세계 시민’으로서의 마을 문화예술교육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자리를 가지게 될 것이다.

□ 코로나 상황을 고려하여 현재 약 30여명의 수강자로 제한하였으며 철저한 방역 수칙을 준수하며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다. 수료자에게는 우리 마을 문화예술교육사 수료증 발급과 추후 심화교육을 통해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문화예술 활동가를 양성 할 예정이다.

□ 무안문화원 오해균 원장은 “지역 문화예술자원을 발굴하여 특성화하고 주민들의 문화적 향유를 높이기 위한 문화예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일에 전념하겠다.”라고, 이번 <우리마을 문화예술 교육사 양성과정>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취지와 포부를 밝혔다.

□ 9월 6일부터 10월 25일까지 매주 화요일에 진행될 <우리 마을 문화예술 교육사 양성과정>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지역주민은 이번 달 4일까지 무안문화원 홈페이지에서 참가신청서를 다운받아 문화원 이메일(mumun8648@kccf.or.kr)이나 문화원(061-452-8648)에 접수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