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역으로 바로가기 하단 메뉴로 바로가기

홈 화면으로 이동

지역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페이지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 거점 사업 문화지소의 거점 사업을 안내합니다.

역사돌봄

‘강용환 창극’ 프로젝트

무안만의 고유한 민속자원을 활용한 예술프로젝트로 창극의 선구자 조선시대 강용한 인물을 주제로 한 브랜드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로 특화한다. 3대에 걸친 국악명가인 무안군의 강윤학家2)가 남긴 문화유산을 전승하고 판소리를 중심으로 한 창극을 통해 무안만의 특화된 통합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한다.

우리 전통 음악극의 형태로 종합 무대예술로서 창극을 문화예술교육으로 활용한다면 통합문화예술교육으로서 뮤지컬 교육에 버금가는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영역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연극적 특성을 살림으로써 공동체를 알아가고 우리 전통에 대한 관심, 아울러 지역문화자원을 연계한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의 시초가 된다.

창극이 가지고 있는 전통미학적 의미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프로젝트다. 고전 소설을 바탕으로 한 스토리텔링, 이에 판소리, 민요, 잡가, 춤이 어우러짐으로써 지금까지 국악교육이 갖고 있는 도제적인 특성, 단편적인 기능전수 프로그램, 창작성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형식의 음악극 교육이 될 수 있는 프로젝트다.

단막극과 창극의 형식을 결합하고 창극과 뮤지컬 형식을 결합한 퓨전형식의 음악극으로 한다. 아울러 학생과 마을주민이 함계 창극단원으로 참여한다. 이로써 세대통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강용환 창극’ 프로젝트 세부내용

- 무안만의 고유한 민속자원을 활용한 예술프로젝트로 창극의 선구자 조선시대 강용한 인물을 주제로 한 브랜드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로 특화한다. 3대에 걸친 국악명가인 무안군의 강윤학家가 남긴 문화유산을 전승하고 판소리를 중심으로 한 창극을 통해 무안만의 특화된 통합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한다.

강용환 창극 프로젝트 세부내용 목록이며, 목적, 사업개요, 추진과정, 세부내용, 사업효과를 제공합니다.
목적
  • - 무안 출신 국악명인 강용환의 예술적 업적을 계승·전승
  • - 지역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선도적 사례를 만들기 위함
  • - 우리 전통 음악극인 창극에 현대적 요소를 가미함으로써 창극이 갖고 있는 종합예술적 특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국악의 대중화에 기여함
  • - 통합적 문화예술교육, 특히 교육연극의 새로운 전환의 시도
사업개요
  • - 주요사업: 학교연계 창극 프로젝트, 마을 연계 창극 프로젝트
  • - 수업대상: 무안관내 초등학교 1개교, 마을 1개소
  • - 연계대상: 전남국악창극단, 승달우리소리고법보존회 등
추진과정
  • - 강용환 창극 <춘향전>, <심청전> 각색
  • - ‘강용환 창극’ 문화예술교육 커리큘럼 구성
  • - 학교, 마을 공개모집
  • - 마을주민단원, 학생단원 모집
  • - 창극교육 강사선발
  • - 마을주민 학생창극단 공동 수업
  • - 강용환 창극 주민 발표회
세부내용
  • (10분 단막극 창극단 운영)
  • - <춘향전>, <심청전>, <삼국지> 중 어느 한 대목만을 창극으로 구성한 세미창극으로 커리큘럼을 만든다.
  • - 창극을 학생들이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창극의 전체 보다는 짧은 단막극 형식으로 창극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 - 학생들과 마을주민들이 함께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세대 통합 교육프로그램의 전형을 창출한다.
  • - 현대적인 요소, 특히 뮤지컬적인 요소와 창극적 요소를 가미하여 기존 창극과는 다른 전혀 새로운 양식으로 각색한다.
  • - 판소리, 민요, 춤을 결합하되 내용에 따라서는 현대적인 이야기를 접목하고 해학적인 요소를 통해 즐겁게 창극을 배울 수 있도록 한다.
사업효과
  • - 마을주민과 학생이 참여하는 전통예술 교육연극 프로그램으로 수범사례를 만든다.
  • 2) 3대에 걸쳐 대명인을 배출한 강윤학 家는 강준안, 강용환, 강태종, 강남중 등 5명이나 되는 훌륭한 국악인을 배출한 명실공히 무안의 대표적인 국악 명가이다.
    그중 특히 강용환은 국악을 융합적이고 개방적인 새로운 장르로 발전시키기 위해 ‘창극’이라는 국악의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였다. <춘향가>, <심청가>를 창극으로 만들었다.
    창극은 창을 위주로 대사와 동작이 가미된 한국 고유의 음악극이다. 창을 위주로 극적인 대사와 동작이 가미된 한국 고유의 음악극, 넓은 뜻으로는 판소리와 군창, 사실극화된 것을 함께 지칭하는 말이다. 판소리가 음악 위주의 1인극 형태인 데 비하여 창극은 판소리의 극적인 성격이 부각되면서 듣는 것 외에 볼 것이 가미된 보다 사실적이며 종합적인 무대 예술이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